본문 바로가기

Music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가사/듣기]

반응형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이미리가 인간문화재 안비취 명창의 1991년에 발매한 " 불가조 회심곡 "을 발표했다.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바로듣기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가사

일심(一心)으로 정념(正念)은
극락세계(極樂世界)라
보옹호오호오홍이어 아미(阿彌)로다
보호오오호오홍이 에헹에 염불(念佛)이면
동참시방(同參十方)에 어진 시주(施主)님네
평생 심중(心中)에 잡순 마음을
연만(年滿)하신 백발노인 일평생을
잘 사시고 잘 노시다 왕생극락(往生極樂)을
발원(發願)하시고 젊으신네는
생남발원(生男發願) 있는 아기는
수명장수(壽命長壽) 축원(祝願)이 갑니다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불교음악의 한 곡명. 일명 회심곡(悔心曲)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를 위해 알아듣기 쉬운 한글 사설을 민요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으로, 본격적인 불교음악인 범패에 비하여 음악형식과 사설이 쉽게 짜여 있다.



“모든 사람은 석가여래의 공덕으로 부모의 몸을 빌려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이생에서 부처를 믿고 좋은 업을 많이 지으면 극락세계로 가고 악업을 지으면 지옥으로 떨어지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같은 사설의 기본 줄기는 고사염불로 불릴 때와 화청으로 불릴 때, 민요 명창들이 부를 때, 또는 지방의 <상여소리> 중에 삽입되어 불릴 때 등 그때마다 약간의 넘나듦을 보인다.

이 노래의 사설은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지었다고 한다. 화청의 <회심곡>은 ‘걸청걸청 지심걸청 일회대중 지심걸청’과 같이 4·4조의 사설을 5박 단위 엇모리장단으로 부르거나 8박 단위인 3·2·3장단으로 부른다. 선율은 각 지방의 민요토리와 같아서 서울 봉원사 범패승들의 화청 <회심곡>은 경토리로 되어 있고, 팔공산제는 메나리토리로 부른다.



고사(告祀)의 평조염불 중 ≪부모은중경≫ 부분을 <회심곡>이라 하는데, 이 ≪부모은중경≫의 <회심곡>은 ‘일심으로 정녕은 극락세계라.’와 같이 7·5조나 불규칙한 구어식(口語式) 사설로 되어 있고, 또한 불규칙한 장단으로 노래한다. 선율은 창부타령조의 경토리로 되어 있다.

경기 명창들이 부르는 <회심곡>은 평염불 <회심곡>을 바탕으로 짠 것으로, 처음을 ‘일심으로 정녕 아하아아미이로다.’로 시작하고, ‘우리부모 날비실제 백일정성이며 산천기도라 명산대찰을 다니시며 온갖 정성을 다 들이시니.’와 같은 ≪부모은중경≫의 내용을 노래한다. 장단은 가사를 적당히 붙여 나가는 불규칙한 장단이고, 한 구절이 끝날 때마다 꽹과리를 쳐서 리듬도 잡고 공백도 메워 준다. 곡조는 창부타령조의 경토리로 되어 있다.

소리 : 이미리
꽹과리 : 설현주

- 이미리
중앙대학교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
중요무형문화제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제 20회 달구벌대회 종합대상_장관상


이미리-불가조 회심곡 [가사/듣기]

반응형